본문 바로가기
일상/북토크

거인의 포트폴리오 : 누구나 할 수 있는 투자전략(자산배분 + 마켓타이밍)

by beginner99 2023. 1. 26.
반응형

'거인의 포트폴리오'를 읽고

거인의 포트폴리오

단순한 방법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할 수 있는 투자법을 찾고 있는 중이다.

이를 위해 투자 관련 책들을 많이 읽고 있는데 그중 감명 깊게 읽은 책이다.

 

시중에 파는 투자 관련 책들은 둘 중 하나인 경우가 많다.

1. 지나치게 원론적이여서 실제로 적용하기 어렵거나,

2. 과도하게 복잡한 방법론으로 인해 과거 데이터에 과적합된 것이 아닌가 의심되는 경우다.

거인의 포트폴리오를 인상깊게 읽은 이유는 위의 두가지 단점을 어느 정도 극복했기 때문이다.

 

책은 전반적으로 과거의 검증된 퀀트 투자법들을 하나씩 소개하면서 수십 년간의 백테스팅 결과를 보여준다.

퀀트라고 해서 복잡한 방식이 아니다.

넓게는 정적 자산배분과 마켓 타이밍 전략으로 구분되는데, 간단히 말하면 다음과 같다.

정적 자산배분

기본적으로 각 자산들 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해서,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는 자산군을 일정 비율로 배분하고

주기적으로 비율 조정을 하는 방식이다. 이를 정적 자산배분이라고 한다. 

 

유명한 정적 자산배분 방식 중 하나로 '영구 포트폴리오'가 있다.

상관관계가 낮은 주식, 채권, 금, 현금을 각각 일정 비율만큼 보유하고, 가격 변동으로 인해 비중이 크게 달라지면

이를 다시 원래 비율만큼 재조정해주는 방식이다.

사실상 1년에 1회 정도만 리밸런싱을 해주면 되는데, 수익률과 MDD가 상당히 양호하다.

(1970.1월 ~ 2021.8월까지 연복리수익률 8.8%에  MDD는 -12.7%에 불과하다)

 

 

여기서 MDD는 최대 발생 가능한 손실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일정 수준 이상의 손실을 감내할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MDD는 투자전략의 성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작용한다.

대부분의 정적 자산배분 방식은 10~20% 정도의 MDD를 보인다.

 

저자인 강환국씨는 일반적인 투자자에게는 정적 자산배분을 추천한다.

퀀트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건, 투자 원칙을 기계처럼 철저하게 실천하는 것인데 

대부분의 일반인은 귀찮거나 혹은 본인이 더 나은 판단을 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해서

이를 실천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마켓 타이밍 전략

정적 자산배분 전략으로 만족하지 못하는 이들을 위해 다양한 마켓 타이밍 전략이 존재한다.

자산의 리밸런싱을 월 1회 정도로 훨씬 자주 해줘야 되지만, 그만큼 높은 수익을 추구할 수 있다.

 

대표적인 전략으로는 안토나치의 듀얼 모멘텀 전략(ADM)이 있다.

단순히 말하면 매월 말 미국 주식 ETF, 선진국 주식 ETF, 미국 채권 ETF의 최근 12개월 수익률을 계산해서

가장 수익률이  높은 섹터군에 투자하는 방식이다.

다만 채권 ETF는 수익률 계산시는 BIL(초단기채권)을 사용하고, 실제 투자 시에는 AGG(미국 채권)을 사용한다.

 

기본적인 사상은 "오르는 주식은 계속 오른다"를 전제로 한 방식이다.

실제로 파마-프렌치 3 factor model(FF3)을 비롯해서 투자론의 각 이론들에서

이러한 "모멘텀"의 실효성은 다수 입증된 바 있다.

 

위의 자산배분 전략과는 달리 매월 전체 투자금을 한 ETF에 올인하는 방식으로 리스크가 더 높아 보이긴 하지만,

그만큼 더 높은 수익률도 추구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1970.1월 ~ 2021.8월까지 백테스팅시 연복리 수익률 15.1%에 MDD - 19.6%이니 수익률 측면만 고려해본다면 엄청난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듀얼 모멘텀 전략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전략들도 많이 개발되었고 논문으로 입증되었는데

이 부분은 추후 포스팅에서 추가로 소개하겠다.

정리하며

투자 전략을 찾아볼 때 과거 데이터에 지나치게 과적합되어 있거나,

개인의 감(?)으로 단기간에만 좋은 성과를 거둔 전략은 기피하는 편이다.

 

이 책은 강환국 저자라는 개인의 투자전략을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 다양한 논문들에서 소개되고 입증되어 온 전략들을 소개하는 서적이라 추천하고 싶다.

다양한 투자 전략을 공부하고 싶은 이들에게 추천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