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9 AI 반도체 전쟁 김용석 저AI가 요즘 시대 주요 키워드가 된지도 몇년이 되었다.애플, 엔비디아, 테슬라 등의 기업들의 주가는 미래의 성장성에 대한 기대감으로 높이 치솟은 상황이다.우리나라 경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삼성전자, 하이닉스 등의 반도체 기업들도 이와 관련하연 주가가 출렁이고 있다.이 책은 AI에서 반도체가 어떻게 활용되는지, 국제적으로 어떤식으로 경쟁 체계가 나타나고 있는지, 그리고 실생활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기술한다.미국이 AI시대에서 앞서가고 있다는 부분은 인지하고 있었지만, 중국의 다수의 기업들이 차지하고 있는 위상들도 생각 이상이었다.특히 AI반도체 내에서도 각 공정마다, 각 영역마다 전문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최근 대학교에서 여럿 신설되고 있는 반도체학과나 관련 프로그램.. 2025. 1. 15. 코스모스(2) 인류는 거대한 코스모스에서는 모래알보다 미미한 존재이다. 그 존재가 이제 코스모스로의 첫 여정을 시작한 것이다.상상 이상으로 거대한 우주에서 생명체가 존재하는 또 다른 행성이 존재할 가능성은 상당히 높다.(모든 것이 가정의 영역이긴 하지만)그럼에도 우리의 지구는 지극히 우연적인 일련의 사건들로 지금의 발전한 인류를 탄생시킬 수 있었고, 이제는 우리 인간들이 지구의 존립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2025. 1. 15. 코스모스(1) 코스모스칼 세이건 저인류는 우주 전체의 극히 미미한 부분이다.인류가 지구 전체의 구조를 전부 파악한지는 얼마 되지 않았고, 우주 차원의 탐사는 이제 시작일 뿐이다.이 광활한 우주에서 우리보다 발전한 문명을 가진 생명체는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2024. 12. 10. 호모데우스 - 미래의 역사(5) 21세기 이후 세상은 데이터교 중심으로 진행될 것이다.인간의 관점에서 동물을 열등하게 간주했던 것처럼,미래에는 인간이라는 알고리즘 유기체보다 모든 면에서 뛰어난 데이터 생태계가 인본주의를 폐지하고 인간을 동물처럼 대하는 날이 올지도 모른다. 2024. 12. 7. 호모데우스 - 미래의 역사(4) 페이스북에서 좋아요 100여개를 분석하는 것만으로도 가족보다도 더 그사람을 잘 알수 있다고 한다.생명공학과 기술의 발전으로 기계가 나보다 나를 더 잘 알게 된다면, 모든 행위의 의사결정의 주체는 나인가 기계인가?의학적 치료가 목적이 아닌 초인간으로의 개발이 목적인 생명공학 기술이 발전한다면 인류는 지금까지 경험해보지 못한 생물학적 차원의 불평등을 경험할 수도 있을것이다. 2024. 12. 6. 호모데우스 - 미래의 역사(3) 인간도 결국 알고리즘의 집합이다.자유주의란 개개인의 하나뿐인 본질을 가장 잘 알수 있는 사람은 개개인 스스로라는 전제 하에 발전했다.최근 기술 발전으로, 인간의 하나뿐인 본질이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입증되고 있다.그렇다면 앞으로의 가치관이 그대로 유지될수 있을까?알고리즘으로 작동하는 기계가 인간의 모든 업무들을 더 잘 대체할 수 있다면 인간 개개인의 존재가치와 존엄성이 지금과 같이 인정될 수 있을까? 2024. 12. 3. 호모데우스 - 미래의 역사(2) 진화론적 인본주의를 포함하여 인본주의의 3가지 분파는 상당히 다른 양상을 보였다.이들은 사회주의적 장점이 반영된 현대의 자유주의로 귀결되었고, 미래의 자유주의는 더욱 극심한 양극화를 낳을것이다.(생명공학, 컴퓨터공학 등)이러한 차이는 현대인과 네안데르탈인과의 차이보다도 더욱 큰 차이로 발현될수도 있다. 2024. 12. 2. 호모데우스 - 미래의 역사(1) 호모데우스 미래의 역사유발하라리 저2024.11.29 금근현대의 인본주의 개념이 인간의 많은 것을 바꿨다.인간은 더 이상 신의 의사에 의사결정을 맡기지 않고, 본인의 내면에 집중하여 생각하고 판단하고 결정한다. 2024. 11. 29. 이전 1 2 3 4 ··· 9 다음 반응형